1. 금투자 시기인가
경기변동 순환그래프 상, 경기후퇴기에는 안전자산(금)을 사라고 한다. 보통 하락기의 시작부터 침체기까지 투자자가 투자해야 하는 종목은 채권-금-화폐(달러) 순인 듯하다. 경기침체에 대한 두려움이 극심할수록 화폐를 선호하니 순간적으로 코로나사태로 채권까지 팔아제끼며 달러를 모았던 것 아닐까?
(예전에 좋아했던 최진기쌤의 생존경제)
https://www.youtube.com/watch?v=P76FzJ2xw9Q&list=PLH0cknw1Gi3Y76zZeSe7rr-iAlp1ZubXL&index=4
여튼 경기후퇴기에는 금리가 낮아질것이고, 화폐가치가 떨어지며, 실물자산의 가치가 높아진다.
https://www.youtube.com/watch?v=IfyuIp0XHL0
요즘 삼프로와 815에도 자주 나오시는 서강대 이영익교수님이 금값상승을 전망했다. 현재 1온스(약28.35g)당 1745.65달러(환율1,234.5원 적용시 g당 약76,014원)쯤 하는데 2000달러까지 예상하신다고 한다. 양적완화로 돈이 굉장히 많이 풀렸기 때문에 그 방향성에는 크게 공감한다. 항간에서는 통화승수가 낮아져 돈을 풀어도 돈이 돌지 않는다고 하지만, 곧 구조조정이 시작될 것이고 공급이 줄면서 수급균형으로 5년안에는 물가가 오르고 인플레이션을 걱정하는 시대가 올 것이라 분석하셨다. (디플레이션을 예측하는 학자도 많음.)
그치만 장기적인 관점의 금값상승이기 때문에 지금 바로 금투자를 시작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채권의 이자도 주식의 배당도 미룬채 시세차익만을 노려야 하기 때문에 금도 팔고 현금을 보유하는 전환흐름을 예의주시 해야 한다. 분할매수, 평균단가대비 5~10% 상승시 수익청산.
2. 금투자 방법 (골드바, 금통장, KRX금현물, 금ETF/ETN)
첫번째, 실물(골드바)를 산다. 단 구매시 부가세10%와 별도 수수료를 내야하기 때문에 수익률 측면에서 비추
두번째, 금통장을 만든다. 현금을 입금하면 국제금가격과 환율을 감안해 0.01g단위로 금을 매입 및 적립하는 방식인데 매도시 매매차익의 15.4%를 소득세로 내며 별도 수수료를 내야하기 때문에 수익률 측면에서 비추
세번째, krx금현물을 산다. 주식어플로 금99.99K 현물을 1g단위로 주문하는 방식인데 현재 1g당 68,860원이다. 거래수수료가 0.22%로 매우낮고 매매차익에 대한 세금도 비과세이기 때문에 수익률 측면에서 추천. 국제금시세보다 한국거래소 금시장 시세가 낮다. 통상 금거래시 국제금시세의 100.2~100.3%수준에서 가격이 형성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매우 저렴하다.
네번째, 금현물ETN/금선물ETN에 투자한다. 금관련 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인데, 거래수수료뿐 아니라 매매차익의 15.4%를 소득세로 내기 때문에 krx금현물만 못하다. 장점이라고 하면 krx금현물보다 매수 단가가 낮다는 정도.
'2. 정보수집 > 가.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유ETN 롤오버 (0) | 2020.04.28 |
---|---|
마이너스 원유선물 (롱포지션 숏포지션 콜옵션 풋옵션) (2) | 2020.04.27 |
원유ETN (원유ETF와의 차이, 특히 롤오버) (0) | 2020.04.26 |
원유ETF 롤오버 (0) | 2020.04.23 |
ETF 롤오버 (0) | 2020.04.21 |